
궁금했지만, 아무도 알려주지 않았던 텀블벅에 대한 모든 것. 활용백서 드디어 풉니다.
.png&blockId=64719d71-1596-44db-9424-f6f34728900f)
펀딩 스토리 작성에서 도입부는 왜 중요할까요? 유난히 긴 크라우드펀딩의 상세페이지 글을 읽을지 말지 후원자가 결정하는 구간이기 때문입니다. 다르게 말하면, 가장 이탈이 많이 발생하는 구간이죠. 길이감 있는 유튜브 영상들도 최근에 하이라이트 내용을 서두에 배치하는 것과 같은 이유겠죠? 정성 들여 준비한 프로젝트인 만큼, 더 많은 사람들이 볼 수 있도록 읽고 싶게 만드는 도입부 3가지 원칙을 준비했습니다.
첫번째, 시각적으로 눈길을 사로잡아보세요!
“신기한데? 재밌겠는데? 00한데?”
GIF와 이미지를 활용해 아래의 예시들처럼 해당 제품이 실제 작동되고 활용되는 모습을 짧은 시간 안에 보여줄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보세요.
디지털 게임이라면 게임의 한 장면, 조명 제품이라면 어두운 곳에서 밝혀주는 장면, 음식이라면 제품의 식감과 맛의 풍미가 느껴지는 생동감있는 장면 등등. 본인이 만들려고 하는 제품의 가치가 극대화되는 단적인 이미지를 보여주세요. 오~ 00한데? 하면서, 스크롤이 내려가게끔 흥미를 유발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한국형 캔들워머 [호롱각] https://tumblbug.com/candlehoues_horonggak

가볍고 쫀득한! 24시간 함께 하고픈 보호대 https://tumblbug.com/anekab1

[HCL 효과음 폰트] 보이는 소리/들리는 글자 https://tumblbug.com/hcl_comicfont

토끼야 내가 만들어줄게! [조그만 토끼 인형 뜨개 키트] https://tumblbug.com/diato4


아기 오구의 모험기 '오구와 비밀의 숲' https://tumblbug.com/oguforest

짧은 길이의 영상 콘텐츠, 숏폼이 SNS의 새로운 대세가 되고 있습니다. 인플루언서만 쓰는 것 같았던 틱톡, 인스타그램 릴스, 유튜브 숏츠를 통해 이미 많은 창작자들이 자신의 작업을 소개하고 브랜드를 홍보하고 있습니다. 텀블벅에서도 이러한 시도가 홍보에 큰 시너지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번 인사이트에서는 인스타그램 릴스를 중심으로 내 펀딩에 바이럴 마케팅을 진행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
새로운 유저가 나의 프로필을 조회하고 펀딩 페이지에 들어올 수 있습니다.
•
그 영상이 특정 유저군의 코드에 맞는다면 매우 큰 성과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어렵지 않으니 같이 따라해보세요!
함께 읽으면 좋을 가이드
제작 과정, 비하인드 스토리 올리기
2022년 하반기부터 인스타그램에 올라가는 영상은 모두 릴스로 공유됩니다. 따라서 인스타그램에 동영상을 올린다면 그건 모두 릴스가 되는 셈입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영상을 보고, 조회수와 좋아요가 쌓여 바이럴이 발생하려면 릴스 스타일에 맞는 매력적인 영상을 올려야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완제품 보다 그 제품이 만들어지는 과정에 더 집중한다는 것을 알고 계신가요? ‘대장장이신과 장난신이 만드는 라이프 오브제’라는 컨셉으로 활동하는 아티스트 헤로키는 레진과 도자기 등 다양한 소재로 인테리어 소품을 만듭니다.
헤로키님은 자신의 인스타그램 계정에 작업하는 모습을 영상으로 올리곤 했는데요. 그 중 한 영상이 큰 인기를 끌며 영상 속에 등장한 소품에 대한 문의가 늘어나게 되었고, 마침 진행중이었던 텀블벅 펀딩으로 새로운 유저들이 유입되며 후원 성과에도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png&blockId=cda588a0-77ba-4376-a800-67fd3f1d19da)
지난 1부 콘텐츠에서 22년의 텀블벅 문구・굿즈를 톺아보며, 다양한 프로젝트의 활약을 소개했는데요. 이번엔 담당자와 함께 주요 프로젝트 트렌드로 카테고리 동향을 살피고, 텀블벅 진행을 희망하는 분들에게 간단 활용 노하우를 전하려고 합니다. 성공적인 문구・굿즈 프로젝트를 론치하고 싶다면, 지금부터 집중!
2022 텀블벅 문구∙굿즈 프로젝트 트렌드 짚어보기
내 현실 친구가 되어줘! 캐릭터 인형 프로젝트
텀블벅 디자인 문구, 캐릭터∙굿즈, 캘린더∙다이어리 중 22년 가장 많이 성장한 카테고리는 바로 ‘캐릭터∙굿즈’ 입니다. 올해 캐릭터∙굿즈는 무려 32억을 달성하며 작년 한해 121% 성장을 이뤄냈는데요, 인스타그램에서 연재되는 캐릭터나 카카오 이모티콘 캐릭터를 현실 소환하는 ‘인형’ 프로젝트들이 큰 히트를 쳤습니다.
22년 텀블벅에는 어떤 인형 프로젝트가 있었나요? (세모 클릭!)

와다다곰 얼굴쿠션과 스트레스볼 프로젝트
세계관에 몰입하고 싶어! IP 콜라보 굿즈 프로젝트
또, 텀블벅하면 서브컬쳐 IP 프로젝트를 빼놓을 수가 없죠? 공식 굿즈, 향수, 인형 등 다양한 웹툰/웹소설의 굿즈들이 역시 계속해서 흥행 신화를 만들어 냈습니다. 특히 이전보다 더 고급스럽고, 디테일하게 IP 속의 세계관을 재현하기위해 다른 제작사와 콜라보로 좋은 퀄리티의 굿즈를 만들어내는 시도들이 있었습니다.
22년 텀블벅에는 어떤 IP 프로젝트가 있었나요? (세모 클릭!)

전세계를 사로잡은 <상수리나무 아래>의 프리미엄 공식 굿즈

푸드 분야 성공한 프로젝트들의 작성법을 핵심만 모아왔습니다! 긴 상세페이지에 어떤 내용을 작성해야할지, 어떻게 구성해야할지, 후원자가 어떤 내용을 살펴볼지 막막하다면 참고해보세요. 2편에서는 본격적인 본론 구성, 결론부 구성에 대한 레퍼런스를 소개합니다.
*아래 내용과 예시는 참고만 해주세요! 각 창작자님이 공들여 제작한 내용이기에 그대로 도용하지 않도록 주의 부탁드립니다.
*PC 웹 환경에서 보기를 권장합니다.
잠깐, 이번 편을 보기 전에 타이틀, 대표이미지, 도입부 노하우가 담긴 1편을 읽고 오는 것을 추천합니다!
4. 스토리 구성하기 : 본격적으로 어필하는 시간, 본론
도입부에서 잘 설득시켰다면, 본격적으로 제품의 디테일한 내용을 소개합니다. 흥미를 느낀 후원자 역시 그래서 얼마나 잘 만들었는지를 살펴보면서 스크롤을 내립니다.
3-4가지 정도 창작자님이 공들여 제작한 포인트(제품의 강점)를 정리하여 전달합니다. 매력적인 문장으로 소제목을 작성하거나 숫자를 매기며 작성하면 더욱 좋습니다.
예를 들면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창작자의 노력에 대한 내용, 제작하는 방식이나 업체, 위생시설 공개, 혹은 제품의 식감과 맛 표현을 구체적으로 이미지와 함께 나열하여 완성도 높은 제품을 어필합니다.
1) 제품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창작자의 노력

이전 편에서 초반 후원액을 끌어올릴 수 있는 이벤트 유형을 알아보았는데요, 오늘은 중후반부에 활용하면 좋을 이벤트 꿀팁을 정리해보았습니다.
특히 중후반부에 진행되는 이벤트는 아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정체되어있던 후원액의 증가
•
후원자와 소통을 통한 커뮤니티 활성화
펀딩을 오픈하고 나서 어떤 홍보 액션을 해야할지 막막하다면, 아래의 방법들을 활용해보세요!
잠깐, 이번 편을 보기 전에 ‘이벤트 어떻게 잘하나요? (초반 부스트편)’을 읽고 오는 것을 추천합니다!
1. 100% 500% 10000% 달성 기념 감사 이벤트!
현재 펀딩이 원활하게 잘 진행되고 있다는 신호를 전달함과 동시에 더 많은 추가혜택과 이벤트를 통해 기존 후원자는 계속 후원을 유지하고 신규 방문자에겐 현재 진행되는 펀딩에 동참하면 더 많은 혜택을 얻게된다는 메세지를 줄 수 있습니다.
달성 기념 이벤트는 아래와 같이 (1) sns에서 친구태그하기, (2) 커뮤니티에 응원 메세지, (3) 추가 선물 증정 등 다양한 유형으로 가능합니다.

크라우드 펀딩에서 이벤트 진행이 필수 요소는 아닙니다. 하지만 적절한 이벤트를 진행하면 아래와 같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
팔로우와 알림신청 수 증대
•
정체되어있던 후원액의 증가
•
후원자와 소통을 통한 커뮤니티 활성화
실제로 후원자 인터뷰에서 창작자의 신뢰도를 판단하는 요소 중 하나로 커뮤니티 소통 능력을 꼽기도 하였습니다.
그렇다면 이벤트를 어떻게 잘할 수 있을까요? 펀딩의 시기에 따라 다른 목적의 이벤트를 설계할 수 있습니다. 오늘 알려드릴 노하우는 초반 부스트를 위한 이벤트입니다.
이번 편을 보기 전에 초반 모멘텀의 중요성을 알 수 있는 ‘공개예정을 꼭 해야 하나요?’ 편을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1. 알림신청 수를 늘리고 후원 전환을 유도하는 이벤트 (공개예정)
처음 펀딩을 통해 제품을 출시하고 후원자를 만나는 창작자라면 지인, 가족, sns 팔로워 등을 동원하여도 목표하는 충분한 수를 확보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이때, 알림신청을 유도하는 이벤트 진행을 권장합니다.
•
알림신청하고 후원 참여시 선물 증정 예시

크라우드 펀딩 만큼 군중심리가 잘 작동하는 서비스도 없는 것 같습니다. 데이터를 보면 프로젝트 론치 후 3일내에 총 펀딩금액의 약 37%가 펀딩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목표금액이 아닙니다) 만약 펀딩 기간이 30일이라면, 남은 27일간 총 펀딩금액의 60%~70%가 펀딩되는 것이죠. 다시 말해 프로젝트 초반에 많은 펀딩을 받을수록 총 펀딩금액의 성과도 좋아집니다.

최근에는 프로젝트 론치 후 3일 내에 펀딩 비율이 더욱 높아졌습니다. 분야에 따라서는 평균 50~60%이상 달성되기도 하는데요. 왜 이렇게 초반 펀딩의 비율이 높아진 걸까요? 바로 오늘 소개할 ‘공개예정’ 기능 때문입니다.
공개예정이 무엇인가요?
프로젝트의 예고편이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창작자가 본 펀딩을 시작하기 전 프로젝트를 미리 공개하면, 후원자는 알림 신청을 통해 프로젝트가 시작되었을 때 놓치지 않고 참여할 수 있습니다. 공개예정이 무엇인지 더 궁금하신 분들은 헬프센터를 참고해주세요!

공개예정이 창작자에게 어떤 도움이 되나요?
1.
프로젝트의 수요 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