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를 위한 가이드인가요?
텀블벅에 프로젝트를 올리기 전 이런 고민이 있는 분들!
•
“제작비랑 배송비, 플랫폼 수수료 등을 다 합치면 얼마나 들지?”
•
“후원금액을 얼마로 해야 손해 안 볼까?”
•
“텀블벅 프로젝트를 준비하는데 얼마가 필요할까? 빠진 항목은 없나?”
예산 계산기는 무엇을 위한 도구인가요?
예산 계산기는 프로젝트를 실제로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예산을 가늠해보는 도구입니다. 예산 계산기를 통해,
예산 계산기 접속하기!
로그인 없이 누구나 이용할 수 있어요
계산기 사용 흐름 요약
예산 계산기는 총 6단계로 구성돼 있어요.
① 아이템 등록
② 리워드 세트 구성
③ 배송비 입력
④ 기타 비용 입력
⑤ 플랫폼 수수료 입력
⑥ 전체 예산 요약 및 수익 확인
STEP 1. 아이템 등록
프로젝트에서 제공할 개별 아이템(리워드)들을 등록합니다.
항목 | 설명 |
아이템명 | 예: A3 포스터 |
후원가 | 후원자가 결제할 금액 |
원가 | 실제 제작 단가 |
MOQ | 최소 생산 수량 (예: 100개부터 생산 가능) |
샘플비 | 시제품 제작비용 |
할인율_수량 | 설정한 수량별로 할인이 적용됩니다. |
할인율_% | 수량별 할인율 |
STEP 2. 리워드 세트 구성
후원을 선택할 수 있는 리워드 세트(패키지)를 구성합니다. 여러 아이템을 조합해 세트를 만드세요.
구성 항목 | 예시 |
세트명 | 스페셜 세트 |
예상 후원 수량 | 예: 100세트 (보수적으로 추정) |
아이템 선택 | - 생성한 아이템 리스트 중 선택
- 수량별 할인이 있는 경우, 세트에 포함된 수량을 늘리면 자동으로 할인율이 적용 |
아이템 조합가 | 아이템별 후원 가격이 합산된 금액으로 자동합산 |
후원금액 | 리워드 후원금액을 임의로 지정 |
STEP 3. 배송비 입력
각 리워드 세트별 1개당 배송 단가와 예상 발송 수량을 입력합니다.
구성 항목 | 예시 |
세트명 | 생성된 리워드 세트를 선택 |
예상 후원 수량 | 예: 100세트 (보수적으로 추정) |
배송 단가 | 배송단가 입력 (도서 산간 지역은 별도로 고려) |
수량 | 리워드 세트 등록시 입력한 예상 후원수량이 자동 기입 |
STEP 4. 기타 비용 입력
제작과 배송 외에 들어가는 부수 비용을 정리해요.
항목 | 예시 |
항목명 | 기타비용으로 추가할 항목 |
금액 | 해당 항목의 비용 기입 |
STEP 5. 플랫폼 수수료 계산
선택한 텀블벅 수수료에 따라 수수료와 예상 모금액에 따른 실 수령액이 계산됩니다.
STEP 6. 전체 예산 요약 및 수익 확인
전체 예산과 수익을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구분 | 항목 | 예시 |
예산 | 제작비 | 제작 단가 x MOQ + 샘플비 합산 |
예산 | 배송비 | 배송비의 합계 |
예산 | 기타 비용 | 기타비용의 합계 |
예산 | 예비비 | 교환, 환불 등의 비용으로 총 제작비의 10% 자동 계산 |
예상 수익 | 총 예상 모금액 | 리워드 세트별 후원가 x 예상 후원 수의 합산 |
예상 수익 | 플랫폼 수수료 | 선택한 요금제에 따른 수수료 비용 |
예상 수익 | 실 수령액 | 총 예상 모금액 - 플랫폼 수수료 |
활용 팁
•
‘예산 계산기’만으로 목표금액을 설정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프로젝트를 준비하는데 필요한 총 예산을 가늠하는 목적으로만 사용해주세요.
•
여러 구성/가격을 바꿔가며 수익 시뮬레이션을 해보세요.
•
데이터저장되지 않습니다. 계산 결과는 참고만 하시거나, 스크린샷으로 따로 보관하시길 권장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 예상 수량은 어떻게 정하나요?
A. 텀블벅이 아닌 자력으로 모을 수 있는 후원자 수 x 2~2.5 가 적정합니다.
Q. 프로젝트 예산을 꼭 이 계산대로 설정해야 하나요?
A. 아니요! 하지만 예산 계산기를 활용하면, 대부분의 비용 항목을 놓치지 않고 고려할 수 있습니다.